HHH의 천문학 이야기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HHH의 천문학 이야기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86) N
    • 천문학 (85) N

검색 레이어

HHH의 천문학 이야기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중성미자

  • 중성미자 기반 생명체의 진화 시나리오

    2025.08.13 by HtoHtoH

  • 고립성 중성자별 간 중성미자 교환이 별 간 정보 전파 수단이 될 가능성

    2025.08.09 by HtoHtoH

중성미자 기반 생명체의 진화 시나리오

중성미자 생명 개념의 이론적 기초생명체의 기본 전제는 에너지 교환과 정보 처리 능력이다. 지구 생명체는 전자기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화학 결합과 대사를 수행하지만, 우주에는 전혀 다른 방식의 에너지·정보 전달 매개체가 존재한다. 그 중 중성미자는 전기적으로 중성이며, 질량이 극도로 작고, 세 종류(전자, 뮤온, 타우 중성미자) 사이를 진동(Flavor oscillation)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진 입자다. 중성미자의 주요 특징은 다른 물질과 거의 반응하지 않는다는 점인데, 이는 생명 유지에 필요한 안정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에너지 전달 효율이 매우 낮다는 치명적인 제약을 수반한다. 그러나, 고차원 시공간이나 특수한 밀도·온도 조건 하에서는 중성미자의 상호작용 단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특히, 별 내부의 ..

천문학 2025. 8. 13. 21:47

고립성 중성자별 간 중성미자 교환이 별 간 정보 전파 수단이 될 가능성

중성자별과 중성미자: 극한 상태에서의 정보론적 상호작용의 단서중성자별은 초신성 폭발 이후에 남는 극도로 조밀한 천체로, 주로 중성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반경은 약 10km 내외, 밀도는 원자핵 밀도에 필적한다. 이처럼 극한의 상태에서는 전자기파는 내부에서 탈출하기 어렵고, 중력적으로도 고립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와의 통신이나 정보 교환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여겨져 왔다. 그러나 중성자별 내부에서는 중성미자가 주요한 열 및 입자 흐름의 매개체로 작용하며, 중성미자는 수많은 천체물리학적 환경에서도 거의 상호작용하지 않고 수십 광년을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는 특수한 성질을 지닌다.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중성미자는 오래전부터 별 내부 물리학을 연구하는 도구로 주목받았으나, 본 논의에서는 한 걸음 더 나아가 서로 고립된..

천문학 2025. 8. 9. 03:42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HHH의 천문학 이야기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